본문 바로가기
여성의학

고안드로겐증(Hyperandrogenism)과 다낭성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by 엔젤카 2024. 3. 22.
반응형

여성들에게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내분비 질환 중 고안드로겐증과 다낭성난소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고안드로겐증(Hyperandrogenism)

1) 다모증(Hirsutism)

 (1) 정의

남성과 같이 콧수염, 턱수염, 구레나룻(sideburns), 가슴, 유두 주위, 안쪽 허벅지, 등 쪽 엉덩이 부위 등 신체의 midline 부위에 털이 과도하게 많은 것을 말한다. 

다모증은 고안드로겐증의 가장 흔한 임상증상이다. 

 

 (2) 진단

다소 주관적일 수 있으나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기준으로는 Ferriman-Gallwey hirsutism scoring system이 있는데 신체 중 모두 9군데에서 0-4점에 해당하는 점수를 매겨서 총점이 8점을 넘으면 다모증으로 진단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6점 이상을 다모증으로 진단한다. 

 

 (3) 원인

-androgen의 과다 생성

-androgen에 대한 피부의 민감성 증가

피부의 민감성은 5a-reductase의 활성에 따라 결정

* hypertrichosis - 눈썹, 팔다리, 몸통 등에 androgen-independent terminal hair가 자라는 것

* virilization - 목소리 변성, 근육량 증가, 음핵비후, 유방감소 및 여성형 체형의 변화 등과 같이 신체가 전체적으로 확연하게 남성화되는 현상

 

 (4) androgen의 생성

-androgen은 부신과 난소에서 생성된다. 

-testosterone양의 50%는 androstenedione의 말초변환이고 나머지 50%는 난소와 부신의 분비로 이루어진다. 

-androgenicity : DHT=300, testosterone=100, androstenedione=10, DHEA-S=5

 

 (5) hyperandrogenemia의 검사

-정상 testosterone 치는 20-80ng/dl이다. 200ng/dl이상이면 난소나 부신의 종양여부를 검사해 보아야 하고 DHEA-S 치는 350ug/dl이하가 정상인데 700ug/dl이상이면 부신에 종양이 있거나 Cushing 증후군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hyperandrogenism과 hirsutism 그리고 anovulatory infertility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다낭성난소증후군이다. 

 

2) 다낭성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1) 정의

임상적 또는 검사상 고안드로겐혈증의 증상이 있으면서 희발월경이나 무월경 같은 임상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2) 유병율

5-10%

 (3) 진단

Rotterdam Consensus의 기준에 의하면

-희발월경이나 무월경

-Hyperandrogenism(고안드로겐증, androgen 과다로 인한 임상증상) 또는 Hyperandrogenemia(고안드로겐혈증, 혈중 androgen치의 증가)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의 존재 : 2-9mm의 난포가 12개 이상이거나 난소의 용적이 10mL 이상인 경우

위의 3가지 가운데서 2가지 이상이 존재하고 다음의 5가지 질환이 아닌 경우에 진단한다. 

고프로락틴혈증, Nonclassic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쿠싱증후군, 안드로겐분비종양, 말단비대증

 

 (4) 증상

-고안드로겐증(다모증, 남성형 탈모, 여드름)

-월경장애(무월경, 희발월경)

-비만 : PCOS 환자의 50% 이상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과인슐린혈증

-비정상적인 lipoprotein 측정치 :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HDL의 감소

 

 (5) 병리

난소가 정상에 비해 약 2-5배 크고 표면이 두꺼운 기질로 싸여 있으며 1cm 미만의 작은 난포들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

 

 (6) 병태생리

-Abnormalities in four compartments에 의해서 발생됨

  • ovarian compartment - the most consistent contributor, dysregulation of CYP 17(androgen 생성 효소)
  • adrenal compartment
  • peripheral compartment(skin, adipose tissue)
  • hypothalamic-pituitary compartment -FSH는 증가하지 않지만 LH의 박동성 증가로 인하여 LH:FSH ratio 증가, 약 25%에서 경증의 prolactin 상승을 동반

-A complex multigenetic disorder

후보유전자 : Follistatin, CYP11A, Calpain 10

 

-인슐린 저항성과 과인슐린혈증

인슐린이 난소에서 안드로겐 생성을 증가시킨다. 

 

 (7) 치료

환자가 피임을 원하는지 임신을 원하는지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지만 모든 환자에서 자궁내막을 보호하기 위해 프로게스테론 투여가 필요하다. 고안드로겐증과 다모증은 동시에 치료 가능하지만 임신을 원하는 경우 효과적인 다모증의 치료는 어렵다. 

 

-체중감소

  • 비만을 동반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우선 권장되는 치료는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건강 증진, 인슐린, SHBG, 안드로겐을 감소시키고 배란이 돌아오게 된다. 
  • 6개월 동안 체중의 5-7%만 줄여도 free testosterone이 감소하여 75%에서 배란이 돌아오고 임신이 가능해진다. 

-약물치료

  • 호르몬 억제제 : 경구피임약, medroxyprogesterone, GnRH agonist, glucocorticoids
  • 스테로이드 합성효소 억제제 : ketoconazole
  • 5a 환원 효소 억제제 : finasteride
  • 항안드로겐 : spironolactone, cyproterone acetate, flutamide
  • 인슐린 반응개선제 : metformin
  • 배란 유도제 : clomiphene, 성선자극호르몬

-수술적 치료

  • ovarian wedge resection : 일시적으로 androstenedione을 감소시키나 장기적 효과는 미미
  • laparoscopic electrocautery : 클로미펜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ovarian drilling을 시행할 수 있으나 유착의 가능성이 있다. 

 (8) 장기 위험

-대사증후군

-자궁내막암, 난소암, 유방암

-우울증과 무드장애

 

 

Reference :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