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의학

유산 방법 - 외과적 처치와 약물을 이용한 유산(Medical abortion)

by 엔젤카 2024. 3. 30.
반응형

유산(Abortion)의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외과적 수술을 이용한 유산과 약물을 이용한 유산이다. 오늘은 이것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외과적 처치

1) 자궁경부 개대 및 소파술(Dilatation and curettage, D&C)

-자궁경부를 먼저 개대시킨 후에 수태물을 소파술(sharp curettage), 진공흡입술(vacuum aspiration), 흡입소파술(suction curettage)로 제거하는 것이다. 

-늦어도 임신 14-15주 이전에 시행해야 자궁천공, 자궁경부 열상, 출혈, 태아 또는 태반조직의 불완전한 제거, 감염 등의 합병증이 적게 발생한다. 

-시행 전 모든 산모에 있어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2) 자궁경부 개대 및 제거술(Dilatation and evacuation, D&E)

-16주부터 시행한다. 

-자궁경부를 금속 또는 흡습성 확장물로 폭넓게 개대시킨 후 태아를 기계적으로 분쇄시켜 제거하고 잔류 수태물을 흡입소파술로 제거하는 것이다. 

 

3) 자궁경부 개대 방법

 (1) 흡습성 자궁경부 확장물(Hygroscopic dilators)

-금속 기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자궁경부를 확장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궁경부를 서서히 넓혀주는 기구

-라미나리아(Laminaria digitata 또는 Laminaria japonica)

-해초를 말려서 만든 것

-자궁경부의 구성 성분인 proteoglycan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해리시킴으로써 자궁경부가 부드러워지고 확장된다. 

 

 (2) 프로스타글란딘

-흡습성 자궁경부 확장물 대신 다양한 형태의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질후구개에 삽입할 수 있다. 

-흡습성 자궁 경부 확장물과 동일 혹은 우수한 확장 효과가 있으며 삽입시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부작용은 비슷하다. 

-주로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400 µg을 4시간 간격으로 주입한다. (일사분기 이전에)

 

4) 합병증

-자궁천공

-자궁경부무력증

-자궁 내 유착

-중증 소모성응고병증

-감염

-마취 합병증

 

5) 월경흡입법(Menstrual aspiration)

-최종월경일 이후 월경예정일이 경과한 이후 1-3주 이내의 임신에서 사용한다. 

-직경 5-6mm의 Karman관과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태물을 흡입한다. 

-시술 전에 임신반응검사가 필수이다. 

-초기임신이므로 임신 진단이 틀리거나 자궁외임신을 진단하지 못할 수 있다. 

-드물게 자궁천공이 발생할 수 있고 수태물의 제거가 불완전할 수 있다. 

 

6) 개복술의 적응증

-심각한 자궁질환이 있어서 자궁적출술을 하려는 경우

-자궁절개술과 함께 난관결찰을 같이 하려는 경우

-임신 중기에 약물을 이용한 임신중절에 실패하여 hysterotomy 혹은 hysterectomy를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

 

2. 약물을 이용한 유산(Medical abortion)

1) 초기 임신 유산 시 사용되는 약제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 약물을 이용한 유산의 금기증

-약물 알레르기

-자궁 내 피임장치

-심각한 빈혈

-혈액응고장애가 있거나 항응고제를 투여받는 임산부

-활동성 간질환, 심장혈관질환, 조절되지 않은 발작질환 등과 같은 심각한 내과적 질환

-부신 질환이 있거나 glucocorticoid 치료가 필요한 환자(미소프로스톨은 glucocorticoid의 작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2) 임신 제2삼분기 유산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란딘 E2

-프로스타글란딘 E1

 

3. 선택 유산의 결과

1) 모성 사망(Maternal mortality)

-임신 초기 2개월 이내에 시행할 경우 모성 사망률은 10만 건당 1건 미만이다. 

-임신 8주 이후부터는 제태 연령이 2주씩 증가할 때마다 약 2배씩 증가한다. 

 

2) 향후 임신에 대한 영향

-향후 수태능력은 감소하지 않는다. 

-자궁외임신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여러 번의 sharp curettage에 의한 유산은 향후 임신의 전치태반 확률을 증가시킨다. 

-향후 조기분만의 위험도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Reference :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