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의학

유산(Abortion)은 어떤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정의는 어떻게 될까?

by 엔젤카 2024. 3. 29.
반응형

유산(abortion)이란 태아가 생존이 가능한 시기 이전에 임신이 종결되는 것을 말하며 자연유산(spontaneous abortion)은 의학적 시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 20주 이전에 임신이 종결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1. 자연유산의 분류와 정의

1) 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

-임신 20주 이전에 자궁 경부로부터 출혈이나 출혈성 질분비물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하며 전체 임신의 20~25%를 차지한다. 

-이중 반수는 유산으로 진행되나 태아의 심박동이 확인되면 유산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감소한다. 

-유산이 되지 않더라도 조기진통, 저체중아, 주산기사망이 증가하지만 태아기형의 위험도는 증가하지 않는다. 

-최종 월경일 다음에 월경 예정일 근처에 착상혈이 생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와 구분하여야 한다. 

-자궁 경부 용종의 출혈과 구분하여야 하며 이러한 출혈은 하복부 통증이나 허리통증을 수반하지 않는다. 

-출혈과 복통이 함께 일어날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자궁외임신, 난소낭종 염전, 다른 형태의 유산과 감별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다. 대개 안정을 취하도록 하나 이것이 임신의 경과를 변화시키지는 못한다. 

-주기적인 질초음파 검사, 혈청 hCG, 황체호르몬 농도 측정을 통해 추적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2) 불가피 유산(Inevitable abortion)

-자궁 경부가 열리고 양막파열로 인해 양수가 흘러나오는 경우로 유산이 거의 불가피한 경우를 말한다. 

-대개 자궁 수축이 시작되어 수태물이 배출되거나 감염이 발생한다. 

-생리적으로 양막과 융모막 사이의 액체가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출혈이나 발열, 통증이 없이 발생한 갑작스러운 분비물이 발생할 경우 48시간을 경과 관찰할 수 있다. 이후에 추가로 액체가 배출되지 않고 출혈이나 통증, 발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일상생활로 재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출혈이나 통증 발열을 수반하는 액체의 배출이 발생한다면 소파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3) 불완전유산(Incomplete abortion) 및 완전유산(complete abortion)

-불완전유산은 자궁경부 내구(internal os)가 열려 있고 출혈이 있으며 태아나 태반이 자궁에서 떨어져 있으나 자궁 내에 존재하거나 자궁 경부를 통해 일부 나와있는 경우를 말한다. 완전유산은 수태물이 자궁에서 완전히 떨어져 자궁 밖으로 완전히 배출되고 자궁 경부의 내구는 닫혀 있는 경우를 지칭한다. 

-초음파검사를 통해 불완전유산과 완전유산을 감별진단할 수 있다.

-불완전유산인 경우에는 소파술로 수태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임상적으로 안정된 경우에는 기대요법을 적용해 볼 수도 있다. 

-임신주수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나 출혈이 많은 경우에는 즉시 소파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4) 계류유산(missed abortion)

-자궁 경부의 내구가 닫혀 있는 채로 배아 혹은 태아가 죽은 채로 수일 혹은 수주, 수개월까지 자궁 내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태아/배아가 죽은 후에 질출혈을 동반 혹은 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외 절박유산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초음파를 통해 배아/태아의 사망 혹은 무배아 임신을 확인할 수 있다. 

-많은 임신부는 이 시기에 지속적 무월경 이외에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다. 

-대개 진단 시에 내/외과적인 방법을 통해 수태물을 제거하게 되나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 자연적으로 수일이나 수주까지 수태물의 배출이 일어나지 않을 시 자궁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던가 점차 작아지게 되며 유방발달이 퇴화하게 되고 임신부의 체중이 줄게 된다. 

-대부분 수태물이 결국 자연배출 되는데 그 증상은 다른 유산의 형태와 비슷하다. 

 

5) 패혈유산(septic abortion)

-중증의 치명적인 감염이 유산에 동반되는 것이다. 

-자궁 내막염이 가장 흔하다. 

-드물게 자궁주위조직염, 복막염, 패혈증, 심내막염까지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빨리 정맥 내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면서 소파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Reference :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