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의학

배뇨의 생리학과 요실금(Incontinence) 종류, 정의, 위험인자

by 엔젤카 2024. 4. 7.
반응형

1. 배뇨의 생리학

1) 정상 요도기능의 유지

요도가 요실금 없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요도가 외인성으로 지지되는 구조와 요도 자체의 내인성 괄약근이 정상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기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두 요인 중 하나라도 손상이 있게 되면 요실금이 발병하게 된다. 그러므로 복압성 요실금은 이러한 두 가지 요인의 손상정도에 의해 크게 두 가지 형태 즉 1) 요도의 해부학적 과운동성에 의한 요실금 2) 내인성 요도 괄약근 부전증에 의한 요실금으로 분류될 수 있다. 

 

 (1) 외인성 요인(extrinsic factor)

-항문올림근(levator ani muscles)

-골반내근막(endopelvic fascia)

-항문올림근과 골반내근막이 요도와 골반옆벽에 붙은 상태

 

 (2) 내인성 요인(intrinsic factor)

-요도벽의 횡문근과 평활근

-점막하 정맥총(submucosal venous plexus)

-요도상피 주름의 상피 접합유지(epithelial coaptation of urethral lining folds)

-요도 긴장도(urethral tone)

 

2) 신경지배

하부요로계는 크게 1) 자율 신경계의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2) 체신경계를 통해 신경지배를 받게 된다. 

 

 (1)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 교감신경계(Sympathetic)

소변을 저장하게 하며 흉, 요부 척수신경(주로 T11-L2/L3)에서 기원한다. 

두 종류의 수용체를 갖는다. 

가. 알파 수용체 : 요도와 방광목에 분포하여 요도압을 증가시켜 방광출구를 닫는 기능

나. 베타 수용체 : 방광체부에 분포하여 방광체부를 이완시키는 기능

 

  •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소변을 보게 하며 천골신경(특히 S2-S4)에서 기원한다. 

무스카리닉 수용체(muscarine receptor)에 작용한다. 

 

 (2) 체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

골반저와 요도괄약근의 신경지배를 통해 하부요로계의 말초신경조절을 한다. 

 

2. 요실금

1) 정의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불수의적인 소변의 누출(the complaint of any involuntary leakage of urine)이 일어나는 증상을 요실금이라 정의한다. 

 

2) 요실금의 종류

 (1) 복압 요실금(Stress incontinence)

여성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요실금으로 기침, 재채기, 운동 등에 의해 복압이 높아질 때 방광압이 요도압보다 올라가면서 소변이 샌다. 

 

 (2) 절박 요실금(Urge incontinence)과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고령여성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요실금으로 소변을 참을 수 없는 절박요 증상이 있으면서 참을 수 없어 소변이 새는 경우를 절박 요실금이라고 한다. 과민성 방광이란 절박 요실금의 유무에 관계없이 절박뇨가 주로 빈뇨 및 야간뇨와 같이 있는 경우를 말하며 이때 하부요로에 감염증 같은 국소적 병변이나 대사 질환이 없어야 하고 단지 증상으로만 정의되므로 요역동학검사로 확인할 필요는 없다. 

 

 (3) 혼합 요실금(Mixed incontinence)

복압 요실금과 절박 요실금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며 많은 요실금 환자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4) 기능 요실금과 일과성 요실금(Functional incontinence and transient incontinence)

기능 요실금은 생리적 배뇨기능은 정상이나 다른 신체능력이 저하된 고령 여성에서 흔히 나타난다. 오줌이 나오려고 하는데 미처 화장실을 찾지 못하거나 도착을 못하든지, 속옷을 많이 껴입어서 빨리 내리지 못하는 경우에 올 수 있으나 환경이 개선되거나 옷을 편하게 입으면 해소된다. 일과성 요실금은 다른 신체적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요실금으로 그 요인으로 DIAPPERS(Delirium, Infection, Atrophic urethritis and vaginitis, Pharmacologic causes, Psychological cause, Excessive urine production, Restricted mobility, Stool impaction)을 들 수 있다. 

 

 (5) 요도바깥 요실금(Extraurethral incontinence)

-선천성 : 방광외번증(bladder exstrophy), 딴 곳 요관(ectopic ureter)

-후천성 : 방광질 샛길(fistula vesicovaginal)이 가장 흔하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인은 폐쇄분만(obstructed labor)이며 산업화된 나라에서는 수술, 암,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발생한다. 

 

3) 요실금의 위험인자

연구자들마다 차이가 있어서 일반적인 요실금의 요인이라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고령, 임신, 출산, 비만, 기능장애나 지각장애 등이 요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Reference :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