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의학

요실금(Incontinence) 진단 및 치료 방법

by 엔젤카 2024. 4. 8.
반응형

1. 요실금의 진단

하부요로 장애 환자의 진단에 중요한 것은 의사에 의하여 직접 이루어지는 세심한 병력의 청취와 자세하고 전문적인 비뇨부인과적 진찰 소견이다. 아울러 필요한 이학적 검사와 기능적 검사 및 방사선이나 초음파 등의 영상 시각적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추가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1) 문진

전신적인 건강상태, 요실금과 배뇨장애증상(잔뇨감, 배뇨통) 외에도 배변장애증상(변비, 설사, 변실금, 불완전배변) 유무를 확인한다. 이외에도 성기능장애 여부, 요통이나 아래가 빠지는 것 같은 느낌이나 하복통 같은 골반 불쾌감이 없는지 알아본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다. 

 

2) 신체검사

환자의 일반적 상태를 살펴보고 기본적인 진찰을 한 다음, 하부요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혈관 부전증이나 호흡기질환 혹은 신경계질환 유무를 확인하고 부인과적 신체검사도 시행한다. 

 

 (1) 면봉실험(Q-tip test)

요도를 통해 방광경부에 면봉을 밀어 넣은 다음, 아랫배에 힘을 주거나 기침을 시켜 면봉의 축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함으로써 요도의 운동성여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면봉의 축이 이동하는 것을 수평과 이루는 각도가 30 º 이상이 되면 요도의 과운동성으로 인정한다. 

 

 (2) 보니실험(Bonney test)

질내에 두 손가락을 넣고 요도방광이행부에서 상방으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기침을 시켜 요누출이 있는지 보는 방법으로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요누출이 있으나 압력을 가한 후에 요누출이 없어지면 요도 지지조직의 손상을 의미한다. 

 

3) 일차진료에서 시행하는 검사

 (1) 배뇨일기(voiding diary : frequency/volume bladder chart)

요증상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하게 하여 요증상을 좀 더 객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배뇨일기이다. 보통 임상적으로 24시간 동안 소변의 양, 배뇨 횟수, 요실금 횟수, 요실금이 일어난 상황과 양, 야간뇨의 시간 및 양 등을 기록하게 한다. 

 

 (2) 소변검사(urine analysis)

요로계감염이나 대사질환, 신장과 요로, 방광의 질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검사이다. 

 

 (3) 잔뇨검사(postvoid residual volume)

배뇨 후 측정한 잔뇨양은 50ml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정의하는데 실제로 일어난 배뇨량을 고려해서 정의해야 하며, 총 방광에 차있던 소변양의 적어도 80%는 배뇨를 해야 한다. 

 

 (4) 기침유발 검사(cough stress test)

방광이 충만한 상태에서 기침을 시켜 보아 소변이 새는지 확인하고 누운 자세에서 유출이 없으면 세워서 확인해야 한다. 

 

 (5) 패드검사(pad test)

패드를 채운 후 일정시간이 지난 뒤 무게를 재는 검사이다. 24시간 검사에서 4gm, 1시간 검사에서 1gm 이상 패드 무게 증가할 때 양성으로 판정한다. 

 

4) 요역동학 검사

요역동학검사는 하부요로의 기능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 검사이다. 일반적인 요로와 방광에 대한 검사는 방광충전검사와 방광배출검사로 구분할 수 있다. 방광이 채워질 때 검사하여 요실금과 과민성 방광을 진단할 수 있고 방광이 비워질 때 검사하여 비정상적이거나 부적절한 소변배출을 평가하게 된다. 

 

 (1)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test)를 꼭 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가. 환자의 증상과 일치하지 않는 소견이 있을 때

나. 요실금은 호소하나 다른 방법으로 증명이 되지 않을 때

다. 기본적인 간단한 검사로 진단을 내리기 어려울 때

라. 보존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마. 과거에 요실금 수술을 받은 적이 있거나 요실금 수술이 고려될 때

바. 혼합성요실금의 증상이 있어서 주 증상의 원인 규명이 필요할 때

사. 직장암이나 자궁암 등으로 근치 수술이나 방사선 조사를 받았을 때

아. 신경 질환의 의심이 있을 때

자. 심한 골반장기탈출증이 동반되었을 때

차. 잔뇨량이 많을 때

카. 감염증이 없으면서 혈뇨가 있을 때

 

 (2) 요역동학검사의 종류

가. 단순 방광충전검사(simple bladder filling test)

나. 다중채널 요역동학검사(multichannel urodynamic studies)

다. 비디오 요역동학검사(video urodynamic studies)

 

2. 요실금의 치료

치료 목적은 요실금에서 벗어나거나 최대한 정상 생활을 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치료방법에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으며 유형에 따라 다르다. 

 

1) 비수술적 치료

 (1) 생활양식의 변화

요실금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등도 이상의 비만여성에서는 체중감량만으로 요실금을 호전시킬 수 있다. 복압이 상승하는 상황(기침, 재채기)에서는 다리를 꼬는 것도 요실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카페인 섭취를 감소시킴으로써 요실금을 호전시킬 수 있다. 

 

 (2) 물리치료

물리치료에는 골반저근운동, 전기자극치료,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치료 등이 있다. 치료효과는 적절한 환자의 선택, 치료자의 지식과 경험, 효과적인 치료과정의 평가, 환자의 노력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골반저근운동 즉 케겔운동은 치료하지 않은 군에 비해 증상이 개선되고 후에 시행하는 수술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증거가 있으므로 복압성요실금의 일차적 치료로 우선 추천되어야 한다. 

 

 (3) 행동치료와 방광훈련

방광훈련이란 배뇨욕구를 본인의 의지로 조절을 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배뇨 습관을 변화시키는 치료이다. 즉 골반저근운동을 함으로써 절박뇨 증상을 억제하여 배뇨 시간 간격을 점차 늘려가는 방법으로 과민성 방광에서 일차적으로 권하는 치료방법이다. 

 

 (4) 질내 기구(페사리)와 요도기구(urethral inserts) 사용

 

 (5) 약물치료

가. 복압성 요실금의 약물치료

방광경부와 요도는 a-아드레날린 교감신경계에 의해 긴장도가 유지되므로 a-교감신경작용제인 imipramine, ephedrine, pseudoephedrine, phenylpropranolamine, norepinephrine 등은 혈관 긴장도를 증가시켜 요실금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고혈압과 뇌혈관 사고를 가져올 수 있어 사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 여성 호르몬은 요실금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처방할 수 없다. 

 

나. 절박성 요실금과 과민성 방광의 약물치료

방광근의 과활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항콜린제를 사용하여 무스카리닉 수용체에서 아세틸콜린의 활성도를 억제함으로써 절박요 증상을 치료한다. 항콜린제의 부작용으로 구강건조증이 가장 흔하다. 

 

2) 수술적 치료

수술을 할 것인가는 적절한 진단에 기초하여 비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이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요도의 해부학적 과운동성과 내인성요도 괄약근 기능부전증의 중등도, 방광의 용적, 요누출의 정도, 골반장기탈출의 유무, 수술을 요하는 골반 내 병리의 유무 등이다. 

 

 (1) 복압성 요실금의 수술적 치료

복압성 요실금의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걸이술(traditional pubovaginal sling)과 버치질걸기(Burch colposuspension)를 시행하여 왔다. 1990년 후반 이후부터 최소침습수술이 소개되면서 요실금의 일차적인 수술치료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최소 침습수술방법으로 무긴장성 질테이프술(tension free vaginal tape), 경폐쇄공 테이프술(transobturator tape)이 있다. 또 요도괄약근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해 요도점막 내에 충전제(bulking agents) 주입술을 하여 요실금을 방지하기도 한다. 

 

 (2) 절박성 요실금의 수술적 치료

행동요법에 실패하고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특히 상부요로계 손상이 예상될 때 시행한다. 신경조절술(neuromodulation)을 하기도 하며 안 되는 경우에는 소장을 이용한 방광확대 성형술(augmentation cystoplasty)을 한다. 

 

 

Reference :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반응형